본문 바로가기

CS/Http9

HTTP 기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란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할지를 정해 놓은 규칙이다. HTTP를 통해 발송할 수 있는 데이터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API)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 HTTP/2 UDP: HTTP/3 주로 현재에는 HTTP/1.1 사용 HTTP/2, HTTP/3 도 급속도로 증가 현재에는 많은 곳에서 1.1에서 2 또는 3으로 급속도로 성장하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2023. 7. 14.
URI, URL, URN란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niform :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L, URN URl과 URN은 URI의 하위 개념이다.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Locator :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URN: Uniform Resource Name Name :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 이후 글 부터는 URL과 URI모두 URL로 표기하여, 작성하겠다. URL scheme scheme://[userinfo@]host[:port][/path][?query][#fragment] https://www.google.com:443/sea.. 2023. 7. 13.
인터넷 네트워크 정리 우리는 오늘날 인터넷을 사용한다. 인터넷 망은 매우 복잡하고, 얽혀있는데 어떻게 우리는 정확한 주소를 찾아가서 데이터를 얻고 통신을 할 수 있을까?? 우선, 인터넷 네트워크 동작 방식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몇가지 지식이 필요하다. IP(인터넷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은 지정된 IP주소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하나의 규칙이다.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IP 패킷 정보에는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포트, 기타등등이 들어가며 이 패킷은 출발지 IP 주소와 목적지 IP주소를 참고하여, 서로간의 컴퓨터(노드)를 타고 목적지 IP 주소의 컴퓨터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IP 프로토콜의 한계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을 전송 비신뢰성 중.. 2023. 7. 12.